nft50 9월 3주차, NFT 기사 스크랩 1. 그라운드X 2차 클립 드롭스 22일 시작 *28인의 아티스트 분들이 새롭게 소개될 예정인듯 하다. https://www.coindeskkorea.com/news/articleView.html?idxno=75328 그라운드X 2차 클립 드롭스 22일 시작 - 코인데스크 코리아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대표 한재선)가 디지털 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한정판 디지털 작품을 전시·유통하는 클립 드롭스 2차전 작품 판매를 22일 시작한다고 밝혔다.클립 드 www.coindeskkorea.com 2. 월 거래량 3조원 넘어선 NFT 시장 *오픈씨의 8월 한달 거래대금이 3조원을 집계됐다고 한다. 작년 한해 NFT 시장규모가 3천억원이었는데... 말이 되는 성장률인가... https://w.. 2021. 9. 16. 텍스트 기반 NFT 루트(Loot), 컬렉터블 시장의 또 하나의 밈이 될까? 지난 2주 정도 오픈씨에서 대체 뭔데 이게 상위 볼륨으로 랭크 되어 있지? 라는 의문을 들게하는 컬렉터블 프로젝트가 있었다. 그 주인공이 바로 Loot (for adventurers), 루트이다. 검은 배경에 여러 줄의 텍스트, 정확히는 게임에서 접해볼 법한 장비명들로 이뤄진 이 이미지들이 거래량 상위에 랭크되어 있으니 NFT 시장을 지속해서 모니터링을 하고 있는 컬렉터의 입장에서는 단순함의 극치를 달리는 이런 프로젝트 마저도 하나의 아트의 영역으로 봐야 하는 건지에 대한 의문을 표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체 루트가 뭔데 영단어 번역을 해보니 전리품이란다. 맞네 전리품. Loot의 이미지들에 적혀있는 각 텍스트들을 보면 무기, 아머, 장신구 등으로 이루어져 약 8개 정도의 프로퍼티(Property)를 제.. 2021. 9. 14. Clones Never Die, 한국의 BAYC가 될 수 있을까? 오늘 소개할 프로젝트는 클론스네버다이(Clones Never Die, 혹은 CxNxD, 애미넴 형의 Kings Never Die가 떠오르는 건 나뿐인 건가 ㅎㅎ)라는 이름의 국내 제너레이티브 아트 프로젝트이다. 현재, 도지사운드클럽이 주목을 받으며 클레이펑크(KlayPunks), 클레이락(KlayRock) 등 클레이튼 기반 혹은 국내 작가들이 진행하는 다양한 NFT 프로젝트들이 생겨나고 있다. *클론스네버다이(Clones Never Die) 공식 웹사이트 https://clonesneverdie.com/#/ CxNxD Clones Never Die clonesneverdie.com 하지만 이런 프로젝트들에 앞서 클론스네버다이를 먼저 소개한 것은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인원들의 백그라운드 그리고 기존의 픽셀.. 2021. 9. 13. NFT, 국내 규제와 법률적 해석에 관하여(1) - 가상자산사업자 이번에는 좀 더 무거운 이야기를 해보려 한다. NFT를 둘러싼 다양한 법률적 논쟁이 바로 그것이다. NFT와 관련해서 언급되는 리스크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첫번째, NFT가 가상자산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느냐, 두번째, 저작권과 관련한 이슈가 있다. 두번째 이슈의 경우, 사실 NFT를 거래하는 작가와 컬렉터 사이에 벌어질 수 있는 내용으로 먼저 국내에 NFT와 관련한 플랫폼이 있어야 생길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글로벌 플랫폼의 경우 저작권에 대한 부분에서 나름 깔끔한데, NFT를 구매하는 것이 단순히 해당 디지털 원본의 소유권만의 이전을 뜻하기 때문이다.) 해서,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 NFT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통해 비즈니스를 하려는 사업자가 서비스 기획을 하기에 앞서 검토해봐야 하는 포인트.. 2021. 9. 10. 9월 2주차, NFT 기사 스크랩 1. 삼성-신세계도 NFT 마케팅... 카카오 NFT 시장 주도권 잡나 *신세계는 서비스적인 요소로 넣으려는 거 같은데 그게 맞나... 일단 시작을 한다는 거에 의미를 두는걸까 https://www.fnnews.com/news/202109060953431404 삼성-신세계도 NFT 마케팅...카카오 NFT 시장 주도권 잡나 [파이낸셜뉴스] 블록체인 업계를 비롯해 전 산업에 걸쳐 화두로 부상하고 있는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토큰)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업들의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자리잡으면서 국내 www.fnnews.com 2. 중고나라에서 가상지구 NFT 사고판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 2021. 9. 9. 국내 NFT 플랫폼(1) - 클립드랍스, 캔버스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NFT 플랫폼 중 아트에 영역에 국한해서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 두 플랫폼을 소개하려 한다. 첫번째로는 카카오의 자회사 그라운드X라는 회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클립드랍스(KlipDrops), 두번째로는 스타트업으로 시작해서 국내외 미대생들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는 캔버스(Canverse)라는 플랫폼이다. 사실 이 외에도 메타파이, 마이템즈, NFT매니아 등과 같은 플랫폼도 있지만 해당 플랫폼들은 아트만 취급하기보단 다양한 영역의 NFT를 같이 어우르는 면이 있어 향후 해당 플랫폼들의 포지셔닝이 좀 더 구체화가 되면 차츰차츰 소개해보려고 한다. (빠르게 소개한다면 소셜 기능을 탑재한 마이템즈 정도를 다루게 되지 않을까?) 1. 클립드랍스(KlipDrops) 앞에서도 한번 설명했지만, .. 2021. 9. 9. NFT 시장에 이제 막 진입한 입문자라면? 앞선 포스팅들에서 NFT로 다룰 수 있는 다양한 주제들을 소개했지만, 생각해보니 아직 이 시장 자체가 성숙하지 않았고 NFT 자체에 대한 이해도 측면에 있어서 사람들마다 차이가 천차만별일 거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당장 내 주변인들도 이 개념이 존재하는지조차 모를 정도니까... 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럼 NFT라는 개념에 대해서 처음 접하고 공부라는 걸 시작을 해보려는 사람들이 어떤 사이트나 서적을 통해 입문하면 좋을지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라떼는 국내 서적은 1도 없었는데... ㅎㅎ 젊꼰... 1. [서적] NFT 레볼루션 : 현실과 메타버스를 넘나드는 새로운 경제 생태계의 탄생 처음 소개할 정보처는 서적이다. 사실 가볍게는 유튜브 채널들에서 소개하는 내용들을 참고해도 좋지만, 아직 딥한 정보.. 2021. 9. 9. 글로벌 NFT 아트 플랫폼(1) - 슈퍼레어, 파운데이션 NFT를 활용한다고 했을 때 가장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분야는 뭘까? 다양한 영역들에서 이 기술이 접목될 수 있겠지만 아무래도 아트의 영역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건.. 나만 그런걸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NFT를 활용한 글로벌 플랫폼들, 그 중에서도 이더리움 메인넷을 활용하고 있으면서도 가장 비교를 많이 하는 두 플랫폼, 슈퍼레어(SuperRare)와 파운데이션(Foundation)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이 둘 외에도 Nifty Gateway, Known Origin, Hit en nunc 등 감도 높은 아트들을 선보이는 플랫폼들이 있지만 우선 화제성이 가장 높은 둘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슈퍼레어(SuperRare) 위 그래프에서도 볼 수 있지만, 현재 아트 플랫폼 중에서는 가장 높은 매출 구성비를.. 2021. 9. 9. NFT, 가상 갤러리(Virtual Gallery) 플랫폼 - 크립토복셀, 온사이버 오늘은 NFT를 활용한 가상 갤러리 플랫폼들을 소개하려 한다. 가상 갤러리라고 하면 샌드박스나 디센트럴랜드같이 메타버스 게임 상에서 뮤지엄이나 갤러리를 건축하고 거기에 프로젝트의 형태로 전시를 이어나가는 형태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그런 형태의 기획을 하기 위해선 메타버스 상에서 건축을 할 수 있는 디자이너와 전시를 하기 위한 작가님들이 같이 붙어야 완성도 높게 구성할 수 있기에 개인 작가 혹은 컬렉터의 입장에서는 허들로 작용할 수 있다. 해서 오늘 소개할 플랫폼은 누구나 각자의 지갑이 있으면 혹은 소개하고자 하는 작품의 링크나 파일이 있으면 사용해볼 수 있는 플랫폼들로 소개해보려고 한다. *더샌드박스 상에 만들어놓은 NFT 갤러리 (국내 작가님들 중에서도 이런 갤러리의 형태를 기획하고 계신 분들이 있다.. 2021. 9. 6. 이전 1 2 3 4 5 6 다음